니제르에서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국가들이 자국민을 대피시키는 작전에 시작되었습다.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 일대의 국가들이 최근 소위 ‘쿠데타 벨트’를 구성하고 있는 가운데 니제르의 군부가 영향력이 강화되면서 이런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1일 알자지라 방송에 따르면, 니제르에 있는 프랑스 국민은 약 600명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프랑스는 니제르 내 프랑스 대사관 주변에서 발생한 폭력 사태와 영공 폐쇄 조치 등을 감안해 프랑스 자국민 전원을 대피시키기 위해 귀국 조치를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1960년 프랑스에서 독립한 이후 니제르에선 쿠데타가 네차례 일어났으나 프랑스가 자국민 대피를 결정한 건 이번이 처음이기에 더욱 주목을 끌고 있습니다. 스페인, 독일, 이탈리아도 자국민 대피에 나섰습니다.
니제르에서는 압두라흐마네 티아니 대통령 경호실장이 이끄는 군부가 지난달 26일 쿠데타를 일으켜 모하메드 바줌 대통령을 축출했습니다. 민주적으로 정권을 이양받은 정부가 전복된 것입니다. 이에 서아프리카 15개국 연합체 서아프리카경제공동체(ECOWAS)는 지난달 30일 “일주일 안에 헌정 질서를 회복하지 않으면 군대를 동원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이 시한이 다가오며 니제르를 둘러싼 정세가 요동치고 있습니다.
니제르는 사헬 지대(사하라 이남 경계 지대)의 ‘쿠데타 벨트’ 중 가장 마지막까지 버티던 국가였습니다. 쿠데타 벨트는 서쪽 기니에서 동쪽 수단까지 아프리카 대륙 중부를 5600㎞ 가로지르는 국가들에서 공교롭게도 잇따라 쿠데타가 일어나 붙여진 명칭입이다. 기니(2021), 부르키나파소(2022), 말리(2020), 차드(2021), 수단(2021) 등이 쿠데타 군정이 들어선 국가들입니다. 니제르 쿠데타가 최종적으로 성공한다면 쿠데타 벨트의 도미노가 쓰러짐으로서 아프리카 대륙을 가로지르는 벨트 형태가 완성된 모양새가 된 것입니다.
사헬 지대에서 유독 쿠데타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이슬람 무장세력으로 인한 치안 불안 때문입니다. 이슬람 무장세력의 활동 세력권은 사헬지역 뿐 아니라 나이지리아 북동부와 소말리아까지 뻗어있는데, 지난 1년 동안 이슬람 무장세력에 의해 사망한 아프리카인은 2만2000명에 달합니다. 이는 전년보다 50% 이상 증가한 수치이며, 이슬람국가(IS) 세력이 절정에 달했던 2014년 이라크에서 IS로 인해 사망한 인원의 두배에 달하는 상황입니다.
나아가 사헬 지역은 기후변화로 인해 토지 및 수자원에 대한 제로섬 경쟁이 격화되고 있습니다. 부패하고 무능한 정부의 약탈적인 관료주의는 이슬람 무장세력이 세를 불릴 틈새를 만들어주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쿠데타를 지지하는 일부 시민들은 무능한 정부보다 오히려 쿠데타 군부가 이슬람 무장세력에 더 효과적으로 잘 싸울 수 있다고 믿고 지지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쿠데타 이후의 혼란이 서아프리카 지역의 이슬람 무장단체 성장세에 기름을 끼얹을 가능성은 오히려 더 커지고 있습니다. 앞서 부르키나파소와 말리에서 쿠데타가 일어난 이후 이슬람 무장세력의 공격이 더 급증한 것은 이를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서아프리카경제공동체(ECOWAS)가 니제르의 쿠데타를 진압하기 위해 무력 개입할 경우 이 일대의 혼란은 더욱 겉잡을 수 없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쿠데타 벨트 국가인 말리와 부르키나파소는 공동성명을 내고 “서아프리카경제공동체(ECOWAS)가 니제르에 군사 개입할 경우 이를 우리나라에 대한 선전포고로 간주하겠다”며 “그 결과는 참담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기니 또한 서아프리카경제공동체(ECOWAS)에 “제재에 동참하지 않겠다. 제정신을 차리라”고 반발했습니다. 서아프리카경제공동체(ECOWAS)가 개입할 경우 니제르 시민들이 쿠데타 지지파와 반대파로 나뉘어 무력 다툼을 벌일 수도 있습니다.
서아프리카경제공동체(ECOWAS)의 지정학적 리더십은 시험대에 올랐습니다. 그동안 서아프리카경제공동체(ECOWAS)는 부르키나파소, 기니, 말리의 쿠데타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쿠데타 벨트’란 오명을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아왔습니다. 이에 볼라 티누부 나이지리아 대통령은 지난달 9일 서아프리카경제공동체(ECOWAS) 의장으로 취임하며 “민주주의 없이는 통치도 자유도 법치도 없다”며 더이상 쿠데타를 용인하지 않겠다고 강조했지만, 이 발언 후 불과 15일 만에 니제르에서 쿠데타가 일어난 것입니다. 서아프리카경제공동체(ECOWAS) 국방장관들은 이날부터 이틀간 나이지리아 수도 아부자에서 만나 향후 조치를 두고 논의할 예정입니다. 서아프리카경제공동체(ECOWAS)가 단행할 군사 개입이 정확히 어떤 수준과 형태일지는 아직 분명치 않습니다. 서아프리카경제공동체(ECOWAS)는 1990년 라이베리아 내전부터 2017년 감비아 선거불복 사태까지 7차례 다국적군을 보낸 사례가 있습니다. 이번 군사 개입의 성공 여부는 회원국 간의 협력 및 아프리카연합(AU) 같은 외부 기구와의 시너지에 달려 있다고 AP통신은 전했습니다. 만약 서아프리카경제공동체(ECOWAS)가 니제르에 군대를 투입한다면 그 규모는 2017년 감비아에 보냈던 7000명보다는 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출처: 연합뉴스 김서영기자)
문제는 이 사헬 지역의 쿠테타 벨트에 속한 나라들이 대개 불어권 선교대상 지역이라는 점입니다. 불어권 아프리카 국가들은 가뜩이나 선교적으로 가장 취약했던 국가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그 중에 그나마 사헬 지역은 불어권 중에서도 선교의 문이 열려가면서 선교의 초석을 다져가던 지역이었습니다. 그런데 연이은 구테타로 인해 정세들이 불안정해져가면서 오히려 선교의 여건이 어떻게 변하게 될지 매우 긴장되는 순간입니다.
(기도) 사헬 지역 구테타 벨트에 속한 국가들이 조속히 평화와 안전을 되찾게 하옵소서! 고질적인 문제인 이슬람 극단주의의 도전이 완전히 좌절되게 하옵소서! 불어권 선교국가들 중에 선교의 초석을 다져왔던 지난 20여년 동안의 선교적 역량이 사라지지 않게 하시고, 오히려 선교적으로 더 진일보 하는 환경이 구축되게 하옵소서!
아멘!
마라나타! 아멘 주 예수님 오시옵소서!